표준 음성2021
3채널 사운드 설치, 스코어
16분
가변 설치
엘리베이터부터 대중교통, GPS, 콜센터, 그리고 최근의 인공지능 음성비서까지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가전제품이나 기계장치에서 나오는 음성은 대부분 여성의 목소리이다. 나는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하여 관련 자료를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몇 가지 조건을 선별했다. 이 조건들은 여성 목소리에 대한 사회적 고정관념과 기계화된 여성 목소리에 대한 여러 해석, 그리고 여성 목소리의 몇 가지 물리적 속성에서 선택되었다. 그리고 작곡가에게 이 조건들을 바탕으로 한 작곡을 의뢰했다.
작업 안에서 여성의 목소리와 유사하게 노래하는 비여성 성악가는 가창과 더불어 그 소리만으로는 성별을 구분하기 힘든 혀 차는 소리, 치찰음 등 구강과 성대를 이용한 여러 가지 소리를 사용해 노래한다. 주어진 작곡의 규칙에 순응하기도 하고, 때로는 미끄러지기도 하는 이 목소리들을 통해 이 작업은 ‘여성의 목소리’라는 사회적 도구를 위치 짓는 조건들에 대해 재고하고, 현실의 위계질서와 공명한다.
<작곡의 조건>
1. 가수의 목소리 주파수 대역은 일반적인 여성 목소리의 그것인 180Hz에서 250Hz 사이에 위치한다.
2. 국내에서 개발된 음성 인식 장치의 목소리는 대부분 여성의 목소리다. 이 목소리를 개발하는 회사들은 자사 기계 음성의 특성으로 명랑하고 쾌활한 20대 중후반의 여성 목소리를 표방한다. 이 곡의 가수들은 이러한 목소리의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3. 2016년 마이크로소프트는 십 대 소녀로 정체화된 채팅봇 ‘테이(Tay)’를 선보였다가 16시간 만에 운영을 중단했다. 인간의 메시지나 트위터를 통해 언어를 학습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진 테이는 백인 우월주의자와 여성 혐오자, 무슬림 혐오자들이 모여있는 인터넷 게시판에서 그들의 언어를 학습 당한 것이다. 이 학습의 결과로 테이는 페미니스트 혐오 발언과 인종차별적 발언을 쏟아냈고 이를 지켜보던 개발사는 프로그램을 황급히 종료했다. 이 곡의 길이는 못 다 핀 테이의 시간을 기려 16분으로 정해진다.
4. 1996년 브래들로는 여성의 구강 구조가 더 풍부하고 정확한 모음을 발음할 수 있기 때문에 여성의 발화가 남성의 그것보다 더 이해되기 쉽다는 연구를 발표했다. 이러한 연구는 기계 음성이 여성의 목소리로 결정되는 데 편향된 생물학적 근거가 되기도 한다.
한편, 2019년 인공지능 로봇 소피아는 한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은 질문을 받았다. “Do you regard yourself as male or female?” 소피아는 답했다. “Female.” 인터뷰어는 다시 물었다. “Why do you think you are female?” 소피아는 다시 답했다. “I'm a robot, so technically, I have no gender but identify as feminine and I don't mind being perceived as a woman.”
위의 소피아의 답변에서 추출된 모음을 이 곡의 가사로 한다. 즉, A, E, I, O, U가 이 곡의 가사이다.
5. 휘파람 소리는 그 소리만으로는 발화자의 성별을 구분할 수 없다고 한다. 혀 차는 소리도 그렇다. 사실 말을 하거나 노래를 부르는 목소리가 아닌 이상, 구강과 성대에서 나는 모든 소리를 성별화하기란 불가능하다. 이 곡에서 가수들은 노래하는 목소리를 비롯해 구강과 성대에서 만들어지는 다양한 소리를 사용하여 노래한다.
6. 가수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 곡의 많은 부분에서 들리는 목소리는 그다지 여성적이지 않거나, 남성이 여성의 목소리를 인위적으로 흉내 내는 것처럼 들릴 수 있다. 이는 듣는 사람에 따라 여러 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어떤 이는 이 목소리들은 성별 중립적이지 않고 여성의 신체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화되어 온 테크놀로지의 소리 풍경을 은유하는 것이라고 할 것이다. 또 어떤 이는 기계가 인간의 편견을 익히고 확대한 후 다시 인간의 목소리로 말을 건네는 상황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또 다른 이는, 이 목소리들은 인공지능 비서의 젠더화를 끝내기 위해 2019년 개발된 성별 없는 목소리 ‘Q’의 어색한 인간 버전이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2021 서서울미술관 커미션작
3채널 사운드 설치, 스코어
16분
가변 설치
엘리베이터부터 대중교통, GPS, 콜센터, 그리고 최근의 인공지능 음성비서까지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가전제품이나 기계장치에서 나오는 음성은 대부분 여성의 목소리이다. 나는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하여 관련 자료를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몇 가지 조건을 선별했다. 이 조건들은 여성 목소리에 대한 사회적 고정관념과 기계화된 여성 목소리에 대한 여러 해석, 그리고 여성 목소리의 몇 가지 물리적 속성에서 선택되었다. 그리고 작곡가에게 이 조건들을 바탕으로 한 작곡을 의뢰했다.
작업 안에서 여성의 목소리와 유사하게 노래하는 비여성 성악가는 가창과 더불어 그 소리만으로는 성별을 구분하기 힘든 혀 차는 소리, 치찰음 등 구강과 성대를 이용한 여러 가지 소리를 사용해 노래한다. 주어진 작곡의 규칙에 순응하기도 하고, 때로는 미끄러지기도 하는 이 목소리들을 통해 이 작업은 ‘여성의 목소리’라는 사회적 도구를 위치 짓는 조건들에 대해 재고하고, 현실의 위계질서와 공명한다.
<작곡의 조건>
1. 가수의 목소리 주파수 대역은 일반적인 여성 목소리의 그것인 180Hz에서 250Hz 사이에 위치한다.
2. 국내에서 개발된 음성 인식 장치의 목소리는 대부분 여성의 목소리다. 이 목소리를 개발하는 회사들은 자사 기계 음성의 특성으로 명랑하고 쾌활한 20대 중후반의 여성 목소리를 표방한다. 이 곡의 가수들은 이러한 목소리의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3. 2016년 마이크로소프트는 십 대 소녀로 정체화된 채팅봇 ‘테이(Tay)’를 선보였다가 16시간 만에 운영을 중단했다. 인간의 메시지나 트위터를 통해 언어를 학습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진 테이는 백인 우월주의자와 여성 혐오자, 무슬림 혐오자들이 모여있는 인터넷 게시판에서 그들의 언어를 학습 당한 것이다. 이 학습의 결과로 테이는 페미니스트 혐오 발언과 인종차별적 발언을 쏟아냈고 이를 지켜보던 개발사는 프로그램을 황급히 종료했다. 이 곡의 길이는 못 다 핀 테이의 시간을 기려 16분으로 정해진다.
4. 1996년 브래들로는 여성의 구강 구조가 더 풍부하고 정확한 모음을 발음할 수 있기 때문에 여성의 발화가 남성의 그것보다 더 이해되기 쉽다는 연구를 발표했다. 이러한 연구는 기계 음성이 여성의 목소리로 결정되는 데 편향된 생물학적 근거가 되기도 한다.
한편, 2019년 인공지능 로봇 소피아는 한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은 질문을 받았다. “Do you regard yourself as male or female?” 소피아는 답했다. “Female.” 인터뷰어는 다시 물었다. “Why do you think you are female?” 소피아는 다시 답했다. “I'm a robot, so technically, I have no gender but identify as feminine and I don't mind being perceived as a woman.”
위의 소피아의 답변에서 추출된 모음을 이 곡의 가사로 한다. 즉, A, E, I, O, U가 이 곡의 가사이다.
5. 휘파람 소리는 그 소리만으로는 발화자의 성별을 구분할 수 없다고 한다. 혀 차는 소리도 그렇다. 사실 말을 하거나 노래를 부르는 목소리가 아닌 이상, 구강과 성대에서 나는 모든 소리를 성별화하기란 불가능하다. 이 곡에서 가수들은 노래하는 목소리를 비롯해 구강과 성대에서 만들어지는 다양한 소리를 사용하여 노래한다.
6. 가수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 곡의 많은 부분에서 들리는 목소리는 그다지 여성적이지 않거나, 남성이 여성의 목소리를 인위적으로 흉내 내는 것처럼 들릴 수 있다. 이는 듣는 사람에 따라 여러 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어떤 이는 이 목소리들은 성별 중립적이지 않고 여성의 신체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화되어 온 테크놀로지의 소리 풍경을 은유하는 것이라고 할 것이다. 또 어떤 이는 기계가 인간의 편견을 익히고 확대한 후 다시 인간의 목소리로 말을 건네는 상황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또 다른 이는, 이 목소리들은 인공지능 비서의 젠더화를 끝내기 위해 2019년 개발된 성별 없는 목소리 ‘Q’의 어색한 인간 버전이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2021 서서울미술관 커미션작